메시앙- 조옮김이 제한되는 선법(Mode of limited transposition)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메시앙- 조옮김이 제한되는 선법(Mode of limited transposition)

by 매일과 하루 2021. 5. 22.
반응형

조옮김이 제한되는 선법(Mode of limited transposition)이란?

'대칭적 구조''반복되는 음정 구조의 그룹(반복되는 하나의 그룹의 마지막 음은 다음 그룹의 첫 번째 음으로 맞물린 형태의 연속이다)'으로 만들어진  '스케일' 혹은 '모드'를 지칭하는 말이다. 

프랑스 작곡가인 메시앙의 저서"나의 음악어법 테크닉(The Technique of my Musical Language: La technique de mon langage musical)"에서 정리했다.

 

 

'조옮김이 한정적인 선법'  정의Ⅰ: 12 반음 시스템 하에서

기존의 12 반음 스케일에 기초하여 어떤 '온음계'를 반음 간격으로 이조 할 경우, '다른 구성음'으로 이루어지는 개별적인 '온음계'를 얻게 되며 결과적으로 12개의 '동일한 음정 간격으로 형성된'  '온음계'를 얻어낼 수 있다.

'조옮김이 한정적인 선법'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조'할 경우 이와는 다른 결과가 얻어지는데, 예를 들어 '조옮김이 제한된 선법'의 '제1선법(wholetone scale)'의 경우, 제1전위의 'C-D-E-F#-G#-A#'을 반음 상승한 위치로 이조 시킬 경우 'C#-D#-F-G-A-B'의 음이 얻어지고 , 다시 반음 상행할 경우'D-E-F#-G#-A#-C'가 얻어지는데 제3전위의 경우 제1전위와 같은 구성음을 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전음계(wholetone scale)'를 12 반음에서 '이조'한 후 얻어지는 '선법(다른 구성음으로 이루어진)은 2개뿐이다. 어떤 '스케일'이 이러한 '조옮김'의 과정 후에 12 반음의 각음에 상응하는 12개의 다른 스케일이 얻어진다면 그것은 '조옮김이 제한된 선법'으로 분류할 수 없다.

 

'조옮김이 한정적인 선법'정의 Ⅱ: 특징적인 음정 관계를 중심으로

장음계의 음정 관계(온음/온음/반음/온음/온음/온음/반음)에 기초하여, 장음계를 이 음계의 다른 높이의 음으로 이조 할 경우 매번 다른 음정 관계를 가진 '다른 모드'가 생겨난다. 

예를 들어 'C major scale'을 '음계의 제2음 위치'로 '조옮김' 할 경우 얻어지는 스케일은 '도리안 모드(dorian mode)로, 다른 음정 간격(온음/반음/온음/온음/온음/반음/온음)을 가진 다른 성격의 '모드'이다. 결과적으로 이 2개의 모드에서 특징적으로 그룹화시킬 수 있는 '연속된 음정 관계'는 형성되지 않으며 개별화된 음정 관계의 연속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조옮김이 한정적인 선법'의 경우  이 '모드(스케일)'에 내포된 어떤 음정 관계가 '특징지을 수 있는 반복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야 하며 이렇게 형성되어 있는 '음정 관계'는 차별화된 자신의 선법적인 성격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제1선법의 음정 관계는 "온음/온음/온음/온음/온음/온음"으로 어떤 다른 높이로 '조 옮김' 되더라도 '온음'의 일정한 음정 형태를 되풀이하면 제1선법과 동일한 형태의 선법을 얻어낼 수 있다. 제1선법에서는 '온음'을 이 스케일의 특징적 음정 관계로 보고 이 선법은 이 '음정 관계'를 연속적으로 반복시킨 후 얻어지는 선법으로 정의한다. 제2선법(디미니쉬드 스케일)의 경우, '반/온/반/온/반/온'의 음정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여기서 보이는 반복적인(특징적인) 음정 관계는 '반/온'의 음정 관계(디미니쉬 스케일에서 시작 음정은 ''온/반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이며,  제2선법은 2개의 '음정 관계(온/반)'의 반복으로 만들어지는 선법으로 정의한다.

결과적으로, 모드의 구성음과 같은 수의 '음정 관계' 즉 그룹화될 수 없는 음정형(- 위의 Cmajor에서 음계의 음정 관계는 반복되는 패턴이 없이 개별적으로 연속된 7개의 음정 관계가  하나의 스케일을 형성한다)으로 이루어진 모드는 '조옮김이 한정적인 선법'으로 분류할 수 없다.

 

 

메시앙에 의한 분류

※온음은 't(tone)', 반음은 's(semitone)', 단음정은 'm(minor)'로 표기함.

1. 제1선법

'wholetone scale'이라고도 부른다. 2개의 음을 한 그룹으로 묶어서 6개의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다.

't-t-t-t-t-t'의 음정 관계를 가진다. 각 그룹은 하나의 음정 관계만을 가진다.

wholetone scale
6개의 그룹으로 이루어진 wholetone scale

'C'음에서 시작하는 원형을 '제1전위'라고 부르며 2개의 전위형이 있다. 'a'는 제1전위로 'b'는 제2전위로 명명한다.

메시앙제1선법
wholetone scale의 제1전위와 제2전위

제1선법의 '조옮김 형'은 단 2개만 생성된다. 만약 계속 상행형으로 '조옮김' 음계를 만들어도 결과적으로는 동일 구성음의 음계가 생성되며 같은 '모드'가 만들어진다. 위의 원형 'a'를 '상행 장 2도' 조옮김한 형태는 'c'이고 '상행 단 3도' 조옮김한 형태는 'd'이지만 음계의 구성음은 'a'와 완전히 동일하므로 독립적인 전위형으로 계산되지 않는다.

동일한 구성음을 가진 제1선법의 전위형
동일한 음으로 구성된 wholetone scale의 전위형

2. 제2선법

'8 음음계(octatonic scale)' , '감음계(diminished scale)' 혹은 'whole-half/half-whole scale'로 불리기도 한다.

3개의 음으로 이루어진 4개의 그룹으로 나뉜다. 's-t-s-t-s-t-s-t'의 음정 관계를 가진다. 3개의 전위형을 가지며 '감 7화음(diminished 7th chord)'과 동일한 음정 구조를 가진다. 각 그룹은 2개의 음정 관계의 연속으로 구성된다.

※'스케일과 모드' 포스팅의 '8 음음계' 참조

 

 

 

메시앙제2선법

3. 제3선법

4개의 음으로 이루어진 3개의 그룹으로 나뉜다.

음정 관계는 't-s-s-t-s-s-t-s-s'이다. 각 그룹은 3개의 음정 관계의 연속으로 구성된다.

메시앙제3선법
3개그룹으로 구성된 제3선법
제3선법 전위형

아래는 제3선법을 이용한 실례로 메시앙의 <바이올린 주제에 의한 변주 > 중에서 발췌한 것이다.

메시앙바이올린주제에의한변주
메시앙<바이얼린 주제에 의한 변주>

 

4. 제4선법

음정 구조는 's-s-m3-s-s-s-m3-s'이며, 2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있다.

6개의 전위형을 가지며, 한 옥타브를 2등분 즉 'tritone(감5도/증4도)'으로 나누고 각 그룹은 4개의 음정 관계의 연속으로 구성된다.

메시앙제4선법
제4선법

 

5. 제5선법

's-s-m3-s-s-s-m3-s'의 음정 관계를 가지며 2개의 그룹으로 나뉜다. 한 옥타브를 'tritone'으로 2 등분하고 각 그룹은 3개의 음정 관계의 연속으로 구성된다.  6개의 전위형을 가진다. 

메시앙제5선법
제5선법

 

6. 제6선법

't-t-s-s-t-t-s-s'의 음정 관계를 가지며 2개의 그룹으로 나뉜다.  한 옥타브를 'tritone'으로 2 등분하고 각 그룹은 4개의 음정 관계의 연속으로 구성된다. 4개의 전위형을 가진다.

메시앙제6선법
제6선법

 

7. 제7선법

's-s-s-t-s-s-s-s-t-s'의 음정 관계를 가지며 2개의 그룹으로 나뉜다. 한 옥타브를 'tritone'으로 2 등분하고 각 그룹은 5개의 음정 관계의 연속으로 구성된다.

메시앙제7선법
제7선법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