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3

라이트 모티브(leitmotif,주도동기, 유도동기)란? 바그너의 악극에서의 예시 라이트 모티브(leitmotif)란? 특정한 등장인물, 장소 혹은 아이디어와 관련된 "짧고 반복되는 음악적인 프레이즈"를 가리킨다. 이와 유사한 음악 용어로는 'idee fixe' 'motto theme'등의 용어가 있으며, 독일어의 'leit motiv'의 영어 표기로, 원래의 용어가 함유한 뜻 그대로 '주요 주제(leading motif)' '안내하는, 이끄는 주제(guiding motif)'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원 뜻을 그대로 번역한 '유도동기 '주도 동기'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짧은 음악적 아이디어를 가리키며, 멜로디, 화음, 리듬 또는 이 세 가지 요소 모두를 반복함으로써 음악적인 '캐릭터'로 인식하게 할 수 있다. 특정 부분에서 중요성을 부가(장면 혹은 인물에 대한)하고 싶을 때 반복적인 음악.. 2021. 6. 18.
스윙뮤직에 대하여 스윙 뮤직은 재즈 역사상 가장 혁신적인 스타일의 하나로 여겨지며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댄스 음악 중의 하나였다. 스윙 뮤직(Swing Music)이란? 1930년대와 1940년대의 '빅밴드(big bands)'가 연주한 재즈 스타일이다. 체계적인 즉흥 변주와 애드리브, 빠른 템포, 유니크한 사운드로 대표되던 당시의 대중적인 댄스음악을 가리키는데, 2차 대전 이후 쇠락의 길을 걷기 전까지 스윙 음악의 뮤지션과 음악과 춤을 즐기던 공연장은 많은 인기와 성공을 누렸으며 스윙 뮤직이 쇠퇴한 이후에도 재즈음악과 대중음악에 지속적인 영향을 끼쳤다. 스윙 뮤직의 역사 1. 1920's-스윙 뮤직의 기원 1920년대의 빅밴드 운동은 스윙 뮤직을 탄생시킨 촉매제가 되었는데, 최초 빅 밴드 중의 하나이며 높은 인기를 .. 2021. 6. 16.
페달 포인트(pedal point)란?-오르간 포인트(organ point) 페달 포인트의 정의 'organ point(영)' 'orgelpunkt(독)' 'pedale(프)'등의 명칭과 영어권에서는 'pedal point' 'pedal note' 'pedal tone'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지속음' '지속 저음' '보속음'등으로 번역된다. 음악에서 페달 포인트는 '지속되는 음'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베이스'에서 나타나며 '페달 포인트'가 지속되는 동안 다른 파트에서의 '이질적인 울림'이 적어도 하나 이상이 나타나야 한다. '페달 포인트'는 때때로 '비화성음'으로서 기능하는데 '계류음(suspensions)' '전타음(retardation)' '경과음(passing tone)'등과 같은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이렇게 '페달 포인트'는 '비화성음'의 한 형태로 분류될 수 있으며,.. 2021. 6. 15.
오스티나토(Ostinato)-고집저음에 관하여 오스티나토(ostinato)란? 어떤 일정한 음형을 악곡 전체를 통하여 혹은 악절 전체에 걸쳐 '동일한 성부'에서 '동일한 음높이'로 반복하는 것을 뜻한다. 베이스 성부 혹은 다른 성부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베이스 성부에 나타나는 이러한 음형을 가리켜 , , 또는 라고 부르며 으로 번역하기도 한다. 1. 초기(중세)의 오스티나토-오스티나토 '패턴'의 등장 오스티나토 음형의 등장은 유럽의 중세 시기에 나타나는데, 초기의 모습은 13C의 모테트"Amor potest conqueri"의 테너 성부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가장 유명한 '오스티나토' 음형은 14C 영국의 캐논"Summer is icumen in"으로 멜로디 라인을 뒷받침하고 있는 '페스(pes)'로 불리는 베이스(bass)의 '오스티나토'.. 2021. 6. 15.
바소 콘티누오(Basso Continuo)-통주저음에 관하여 바소 콘티누오(basso continuo)란? 17C-18C에 걸쳐 유럽에서 널리 유행했던 음악 기법으로, 건반악기의 주어진 베이스라인 위에 부분적으로 즉흥적 화음이 더해지며 반주 성부를 완성시키는 방법 또는 그 저음 부분을 가리킨다. 1. 다양한 표기법과 명칭 '바소 콘티누오(basso continuo)', , '콘티누오(continuo)', '피겨드 베이스(figured bass)'등의 명칭은 모두 동일한 의미이다. '통주저음(basso continuo)' 으로 번역되기도 하는데, 독주 파트가 쉴 때에도 베이스 라인은 일관되게 연주되며 지속적으로 들리는데서 라는 명칭이 유래되었으며, 저음 위에 적힌 숫자로 화음이 지정되던 것에서 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이외 독일어의, 혹은 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 2021. 6. 13.
테트라코드(tetrachord)란?-정의와 역사적 기원 테트라 코드(tetrachord)란? 이론적으로 테트라 코드의 정의는 '3개의 음정 간격으로 구성된 4개의 분리된 음'을 뜻한다. 전통적인 음악 이론에서는 테트라 코드의 음정(제1음과 제4음 사이)은 4:3 비율의 현 분할에서 얻어지는 '완전 4도'간격을 기본으로 하지만, 현대에 들어서면서 4개의 음으로 이루어진 '어떠한 음렬-음계(완전 4도의 전제를 만족시키지 않아도 됨)'도 아우르는 폭넓은 개념으로 쓰인다. 1. 테트라코드의 어원과 '대완전 체계(greater perfect system)'&'소완전 체계(lesser perfect system)' A. 테트라코드의 어원적인 의미 명칭은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4'를 지칭하는 '테트라(tetra)'와 ''현:string'과 '음:note'을 뜻하는 '코드.. 2021. 6.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