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자리표의 종류
음자리표에는 높은 음자리표, 낮은 음자리표, 가온 음자리표가 있다. 음자리표는 음이 위치한 수직적인 공간에서의 일정한 자신들(오선보에 쓰이는 음)의 위치를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세상의 모든 '사운드'는 자신의 '절대 높이'를 가지고 태어나고 이중 음악의 재료로 이용되는 소리는 ①'고른음(Musical Tone)이라고 불리는데, 이러한 '음'에 다양한 '높낮이', '길이', '셈여림', '음색'등의 요소가 더해져 우리가 듣는 다양한 음악의 '사운드'를 만들어 낸다.
※①음의 종류에는 '순음(Pure Tone)', '고른음(Musical Tone)', '시끄러운 음(Noise Tone)'이 있다. 순음은 배음을 포함하지 않는 가장 기본적이고 단순한 소리를 가리키는데 악기의 소리는 이러한 순음을 포함하지 않는다. 고른음은 탄력 있는 물체의 규칙적 주기적인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를 가리키며 몇 개의 배음을 내포하고 있는 사운드인데 대부분의 악기 소리와 사람의 목소리가 여기에 속한다. 마지막의 시끄러운 소리는 '잡음' '노이즈 사운드'를 가리키며 극단으로 짧은 진동 혹은 불규칙하게 진동하는 음을 지칭한다. 유리가 깨지는 소리, 자갈 위를 달리는 소리 등이 속하고 음악에서 타악기의 소리(음고가 없는 타악기의 소리에 국한하여)가 '노이즈 사운드'의 영역에 속하는데 명확한 음색을 드러내지만 명확한 높이가 없는 경우로 세 번째 카테고리(시끄러운 소리)로 분류된다. 음악에 쓰이는 어떤 사운드는 이렇게 '잡음'의 영역에 속하기도 한다.
1. 높은 음자리표
영어 표기로는 G clef(혹은 Treble clef)라고 하며 오선보에서 G음의 위치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음자리표는 G를 기호화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출발점(오선보의 둘째 줄)이 G음이다. 일반적으로 쓰이는 높은 음자리표는 맨 앞의 음자리표이며 '8'의 숫자가 밑에 더해진 것은 한 옥타브 내려진 음역을, 위에 그려진 것은 한 옥타브 올려진 음역을 지정하며 마지막의 음자리표는 오선보의 첫째줄이 G음으로 설정된다.

※알파벳 이름의 음들은 숫자 표기를 더하거나(ex. C1, c1) 소문자- 대문자-숫자 표기 등을 결합하여 (ex. C, c, c1, c2) 자신의 높이를 표시하는데 각 나라마다 다른 체계를 쓰고 있으며 독일식 표기가 일반화된 표기로 많이 쓰인다. 소위 말하는 피아노의 중간음 즉 '가온다'음은 소문자 'c1'의 영역에 속한다. 결과적으로 Gclef의 G음은 'g1'의 위치이다.

독일 | H2 | C1-H1 | C-H | c-h | c1-b1 | c2-b2 | c3-b3 | c4 |
미국 | B0 | C1-B1 | C2-B2 | C3-B3 | C4-B4 | C5-B5 | C6-B6 | C7 |
표 1. 독일과 미국의 음역 표기
2. 낮은 음자리표
영어 표기로는 F clef(혹은 Bass clef)라고 하며 F음의 위치를 표기한다. 오선보의 넷째 줄이 그 시작점이며 독일식 표기의 알파벳 음고 표시로는 소문자 영역으로 'f '로 표기된다. 맨 앞의 낮은 음자리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자리표이며 두 번째 낮은 음자리표는 오선보의 셋째 줄이 'f '음이 된다. 위의 예(높은 음자리표)와 동일하게 음자리표 아래쪽의 숫자'8'은 한 옥타브 하강한 음역대를 위쪽의 숫자 '8'은 한 옥타브 상승한 음역대를 가리킨다.

3. 가온 음자리표
영어 표기로는 C clef라고 하며 C음의 위치를 표기한다. 구체적인 음고를 지정하면'c1'의 위치이다.
가온 음자리표는 오선보의 각각의 줄에 위치할 수 있고, 달라진 음역에 따라 첫째줄부터 소프라노 음자리표-메조소프라노 음자리표- 알토 음자리표-테너 음자리표-바리톤 C 음자리표라고 부른다. 이중 알토 음자리표와 테너 음자리표가 중음역대의 표기(ex. 비올라 악보)를 위해 자주 사용된다.

[ex.4] 다양한 종류의 가온 음자리표
4. 뉴트럴 표
뉴트럴 표( Neutral clef)라고 부르며 음 높이를 표기하지 않는 타악기(무율 타악기)의 표기를 위해 사용된다.

댓글